fiber는 리액트 16에서 나온 아키텍처이다. stack과 조금 다르게 쌓이는 건 스택처럼 쌓이지만 나오는 순서는 무관한게 fiber의 특징이다. fiber에서 무언가를 꺼낸다는 것은 변화에 적용한다는 것을 의미이다. 렌더링하는 순서를 조정하기 위해서 stack에서 fiber라는 아키텍처가 필요했다. stack은 진행 중인 것을 멈출 수 없고, 렌더링 순서를 유연하게 가져갈 수 도 없다.

16버전에 들어왔고,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버전은 18버전이다. useTransition이 들어오면서 이다.

리액트 패키지의 구성 요소

컴포넌트를 정의하고, 다른 패키지에 의존성이 없어 다양한 플랫폼에 사용이 가능합니다.

용어

Virtual DOM 이 자바스크립트 객체라고? render phase 와 commit phase 로 나누어서 동작 원리 살펴보기

VDOM은 프로그래밍 컨셉으로 메모리 상 UI 관련된 정보를 띄우고, react-dom과 같은 라이브러리에 의해 실제 DOM과 싱크를 맞춥니다. 이 과정을 재조정(reconcillation)이라 부릅니다. 가상이라고 불리는 이유는 실제 돔을 본따서 메모리에 저장해두었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