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fore DNS

hosts를 통해 ip에 대한 ip 주소부를 개인적으로 운영할 수 있었다. 예전에는 Stanford Research Institute(스탠포드 리서치 인스틱튜드)에서 전세계의 호스트 파일을 관리했다. 도메인을 사용하고 싶으면 스탠포드 리서치에 연락해서 자신의 IP와 사용하고 싶은 도메인 주소를 주고 요청을 했다. 사람들은 스탠포드 리서치 인스티튜드에 있는 hosts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서 자기 컴퓨터에 덮어쓰기 한 다음에 사용했다.

그러나 인터넷이 커짐으로 이 방식은 여러가지 문제가 있었다. hosts를 다운로드 받기 전까지는 사용할 수가 없었다.

Domain Name System

컴퓨터가 인터넷이 연결이 되고 나면 DHCP를 통해서 IP 설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내 컴퓨터에서 인터넷 주소에 검색을 하면 가장 먼저 호스트 파일을 찾아본다. 내가 찾는 주소가 없으면 그 다음에 DNS 서버에 접속해서 도메인 네임의 IP가 무엇인지 요청한다. DNS 서버는 자신이 기억하고 있는 ip 주소를 응답하게 된다. 그러면 IP를 받아서 통신을 하게 됩니다.

인터넷을 연결하는 순간 가입한 통신사 들을 ISP(인터넷 서비스 프로바이더)라고 한다. ISP에서 도메인 네임 서버에 IP를 자동으로 할당해주는 매커니즘을 갖고 있다. 연결하는 순간 어떠한 DNS 서버를 연결하게 된다.

DNS 서버는 전세계에 흩어져있다.

각자 도메인의 구조마다 각 서버가 있다.

루트 도메인 / 탑 레벨 DNS 서버 / Second-lebel 서버 / sub 서버

모두 각자 자신의 아래의 서버의 위치를 알고 있어야 한다. 각자의 DNS 서버들이 협력하여 도메인 위치를 알려준다.

DNS Regis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