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S를 온전히 이해하고 있는 사람은 없다. 그렇지만 누구나 JS 공부를 시작할 수 있고, 학습을 통해 JS와 더 친해질 수 있다.
배경지식을 알게 되면 JS의 정체와 JS 명세서가 확정되고 유지 보수하는 절차를 파악할 수 있다. 이 과정을 통해 중요한 통찰을 얻을 수 있다.
1. 책에 대하여
여행이라는 단어를 꾸준히 강조하는 이유는 JS 정복은 목적지가 되어서는 안 되고, 바라봐야 할 방향이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 이 책은 초보자를 위한 입문서가 아니라는 점
- 첫 단추를 잘 끼워야 한다는 점
2. 자바스크립트 이름의 유래
자바스크립트의 이름은 마케팅 목적으로 사람들을 속이기 위해 고안한 이름.
- 처음 암호명으로 모카(Mocha)
- 넷스케이프에서 라이브스크립트(LiveScript)
- 외부에 공개할 때, 자바스크립트(JavaScript)로 공식 명칭.
왜 이름이 자바스크립트일까요?
: 이 언어는 자바 개발자들에게 어필하기 위해 만들어졌고, 당시 ‘스크립트(script)’라는 단어는 ‘가벼운 프로그램’이라는 뜻으로 유행하였다. 그리하여 경량 스크립트인 JS는 웹이라 불리는 새로운 기술과 함께 웹페이지 속으로 온 것이다.
⇒ 자바스크립트는 유명하고 무거운 자바 개발자들에게 어필하기 위해 마켓팅 목적으로 고안해낸 이름.
- 자바스크립트와 자바가 별개 언어라곤 하지만 표면상 비슷하다.
⇒ 두 언어 모두 C 언어(C++)와 유사한 문법을 기대하는 개발자를 대상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 자바스크립트는 C, C++, 자바와 마찬가지로 블록 시작과 끝을 여는 중괄호와 닫는 중괄호를 사용한다. 그리고 문(statement)가 끝날 때 세미콜론을 사용한다는 점도 유사하다
- 자바와 자바스크립트는 문법이라는 프로그래밍적 관점보다 법률적 관점에서 더 강하게 결부된다.
- 썬 마이크로시스템즈는 넷스케이프를 인수하며 자바스크립트를 비롯한 몇몇 기술도 함께 인수.
- 오라클이 썬 마이크로시스템즈를 인수하면서 자바의 소유권과 자바스크립트 이름의 소유권도 가지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