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tion 1. 변수
: 컴퓨터 메모리 내 데이터 위치(또는 주소)를 표현하는 이름이다.
- 프로그램 실행 중 변경되는 정보를 추적, 평가(evaluate), 변경(update) 가능
- 변수 생성 시, 시스템이 자동으로 할당하고 위치 지정.
타입은 변수가 얼마나 많은 메모리를 차지하고 메모리에 저장된 내용을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를 프로그램에 알린다.
Section 2. 복합 자료 구조
: 구조체(struct)나 객체(object)와 같이 관련 있는 데이터 조각들을 모아서 한꺼번에 전달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 복합 데이터는 자신의 데이터와 작동에 대한 함수를 모두 폼하는 ‘객체(object)’가 될 수 있다.
- 객체의 함수는 특별한 구문을 사용해 해당 객체 자신의 데이터 접근한다.
- 객체는 내부 데이터의 접근을 지정하는 가시성(visibility) 규칙을 제공할 수 있다.
Section 3. 배열
: 여러 값을 연속적으로 인덱스(index)가 부여된 상자에 저장하는 간단한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 컴퓨터 메모리에 존재하는 같은 크기의 상자들이 연속적으로 배치된 블록.
- 어떤 메모리 덩어리를 차지하며 임의의 다른 정보와 인접 가능.
- 배열의 구조는 위치(또는 인덱스)를 지정하여 배열 내 개별 값, 즉 원소(element)에 접근 가능.
- 배열 내 상자들은 컴퓨터 메모리에서 서로 인접해 있으므로 첫 번째 원소로부터 오프셋(offset)을 계산해서 해당하는 위치의 메모리를 읽는 방식으로 쉽게 접근 가능.
- 이는 접근하려는 상자의 위치와 관계없이 덧셈 한 번과 메모리 접근만 필요.
배열의 두 값을 교환 하려면 먼저 둘 중 하나를 임시 변수에 할당해야 한다.